경제

천만원 모으는법 - 사회초년생, 월급 200만원기준

el.la 2021. 10. 21. 14:40

일단 목표금액을 정한다.

한번도 돈을 모아본적 없다면, 목표금액을 정하는게 가장 중요하다.

 

딱히 모으고 싶은 목표의 금액이 없다면 혹은 모으고 싶은 돈이 꼴랑 몇백만원이라면

천만원부터 시작하자.

 

왜 천만원이냐, 

몇백만원은 핸드폰같은 가전기기를 사거나, 여행을 간다고 하면 한번에 쓸 수 있는 돈인데

천만원으로 자릿수가 올라가는 순간 그 액수에서 주는 무게감이 커지기 때문에 오히려 사용하기가 어려워진다.

 

이 계획을 짜기 좋은 시기는 바로 지금이다. 2021년이 지나가기 전에 계획을 세워서 2022년부터 실천해 보기로 하자.


  1. 지출파악
    1. 고정지출1 파악
      가장 먼저 해야할일은 내 지출을 파악하는것이다.
      최근 3달의 지출 내역을 엑셀에 정리하여 내가 어디다가 돈을 쓰고 있는지 파악해라.
      그리고 그 내역중에서 꼭 필요한 비용은 고정지출 이라는 이름으로 따로 정리해둔다.
      고정지출의 예시는 월세, 공과금, 통신비 등이 되겠다.
    2. 고정지출2 파악 (구독료)
      만약, 넷플릭스나 티빙같은 OTT 브랜드나 멜론, 벅스등 음악 서비스를 구독하고 있다면 그 비용도 따로 합계를 내서 적어둔다.
    3. 비고정지출 파악
      그리고 그 외에 내가 한달동안 사고 먹고 쓴것들을 쭉 돌아보며 대략적으로 한달에 얼마만큼의 돈을 쓰는지 계산한다.
  2. 용돈설정
    내 한달지출이 어느정도 파악이 됐다면, 한달동안 자유롭게 쓸 용돈을 정해야한다.
    여기서 용돈의 액수는 위에서 계산한 비고정지출보다 훨씬 적게 잡아야 한다.
    비고정지출의 내역을 살펴보면서 줄일수 있는 것들을 지워가며 정말 이정도면 한달 어떻게든 버티겠다 싶은 금액을 선정한다.
    나에게 너무 관대하지 말아라 약간 빡빡하게 잡아도 다 어떻게 살게된다.

  3. 비상금
    열심히 돈을 모으고있는데 가끔씩은 정해놓은 용돈보다 돈을 많이 쓰게 될때가 있다. 그럴때 잘 모으고 있는 적금을 깨야한다던가, 주식을 팔아야해서 의욕이 꺾이게 되는걸 방지하기 위해 비상금을 따로 마련해 놓는다.
    급할때 꺼내쓰고, 어쩌다 좀 용돈이 남는달에 꼭 다시 채워 넣는다.

  4. 연간행사비용 계산
    기념일, 부모님생일, 명절, 경조사비, 일년에 한두번 모이는 모임회비 등 불규칙적으로 소비되는 지출 1년치를 계산한다.
    위에서 용돈을 빡빡하게 잡아놔서 한달 용돈으로는 도저히 친구들 생일 선물을 살 수 없다.
    그렇다고 교우관계를 다 끊을순 없으니 내년에 있을 지출을 계산해놓고 그 비용을 미리 마련해둔다.

자 이제 예시를 통해 한번 봐보자.

 

월급은 200만원을 번다고 가정하면, 아래와 같은 계획이 나온다.

  1. 고정지출1(월세, 공과금, 통신료 )57만원 고정지출2(구독료)3만원 => 총 60만원
  2. 비고정지출(용돈): 30만원
    너무 적다고 생각할수 있지만, 친구들 좀 덜 만나고 옷을 계절별로 하나씩만 장만하면 이것도 충분하다.
  3. 비상금: 10만원 
  4. 연간행사비용: 100만원

일단 돈을 모으기로 한 첫달에 연간행사비용을 모아야 한다.

(아니면 지금이 10월이니 11월,12월동안 연간행사비를 마련해 놓는게 제일 좋긴하겠다.)

1월: 200만 - 100만(연간행사비) -60만(고정1+2) - 30만(용돈) = 10만원

여기서 남은 10만원을 비상금으로 넘긴다 

 

1월은 연간행사비를 마련하느라 저축을 못했으니, 2022년안에 천만원을 모으려면 천을 11로 나눠야한다.

90만9천원이 되는데 쿨하게 95만원을 저축하기로 한다.

모으는 금액이 이렇게 딱 떨어지지 않을땐 반올림해서 모아라.

나에게 관대해지지 말것!

 

2월부터 12월 :200만 - 95만(저금) -60만(고정1+2) - 30만(용돈) = 10만원

여기서 남은 15만원은 남는돈이라고 신나게 쓰지 말고 다른 방법으로 저축하는걸 추천한다.

매달 95만원은 1,000만원을 향해 적금에 차곡차곡 넣고, 15만원은 주식이나 다른 적금에 넣어라.

귀찮다면 그냥 110만원씩 매달모아라

 

이렇게 2022년간 열심히 저축을 하면 월급 200만원 기준 1,210만원을 모으게 된다.

 

항상 저금은 계획보다 실천이 중요한데, 실천을 잘 하는 방법은

저축 플랜을 잘 보이는데다 적어놓고, 매달 월급이 들어오면 일단 저금을 한다.

또 통장을 하나 만들어서 고정지출이 나가는 통장과, 비고정지출이 나가는 통장을 분리한다.

고정지출 통장엔 매달60만원을 넣어서 자동이제가 되게하고 카드와 연결된 통장을 비고정지출통장으로 설정해서 한눈에 지출을 파악할수 있게 하는게 중요하다.

신용카드를 쓴다고 해도 그 카드에 연결된 통장에서 매번 바로출금 결제를 해서 체크카드처럼 써라!

 

실천방법은 다른글에서 더 자세히 다뤄보도록 하겠다.

2022년! 천만원 한번 만들어보자, 용돈이 너무 적은거 아니냐구? 너무 구질구질하게 살게 되는것 아니냐구?

통장의 잔고를 보면 그 뿌듯함에 그저 자신감만이 차오를것이다!